안녕하세요
오늘은 시놀로지 서버 구축후 외부 네트워크 망에서 접속하는 방법을 작성합니다.
저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방법이 틀릴수도 있지만
어쨌든 현재 저는 외부에서도 나스 사용이 가능해요.
일단 제어판에서
"외부 액세스" 설정으로 들어가줍니다.
이곳에서 DDNS 추가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리고 나서
서비스 공급업체를 Synology를 선택하고
나머지를 작성해주세요.
자신의 이메일 인증도 완료되어야 합니다.
외부 주소에 나오는 IP가
내가 외부에서 접속할때 사용할 IP 에요.
정상적으로 되었다면
상태가 정상으로 되어있을꺼에요.
만약 이메일 인증을 하지 않았다면
이메일 주소가 확인되지 않았다고 될겁니다.
그럴땐 자신의 메일로 발송된 인증메일을 열고
본문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설정을 해줄거에요.
저는 티피링크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포트 포워딩 메뉴에서 추가를 클릭하고
서비스 이름은 마음대로 장치의 IP 주소에는
DDNS할때 만들어진 IP가 아니라 NAS IP를 입력해줬어요.
포트는 처음에는 20이였는데
외부접속이 안되어서 5000으로 변경하니
그때부터 외부접속이 되더라구요.
기본 5000으로 되어있고
DSM 설정에서 포트는 변경이 가능한거 같습니다.
DSM 포트와 동일하게 해주세요.
혹시라도 새로운 방법이나
보완될 사항이 있으면
본문을 수시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시놀로지 나스 외부접속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시놀로지 서버 구축후 외부 네트워크 망에서 접속하는 방법을 작성합니다.
저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방법이 틀릴수도 있지만
어쨌든 현재 저는 외부에서도 나스 사용이 가능해요.
일단 제어판에서
"외부 액세스" 설정으로 들어가줍니다.
이곳에서 DDNS 추가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리고 나서
서비스 공급업체를 Synology를 선택하고
나머지를 작성해주세요.
자신의 이메일 인증도 완료되어야 합니다.
외부 주소에 나오는 IP가
내가 외부에서 접속할때 사용할 IP 에요.
정상적으로 되었다면
상태가 정상으로 되어있을꺼에요.
만약 이메일 인증을 하지 않았다면
이메일 주소가 확인되지 않았다고 될겁니다.
그럴땐 자신의 메일로 발송된 인증메일을 열고
본문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그리고 나서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설정을 해줄거에요.
저는 티피링크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포트 포워딩 메뉴에서 추가를 클릭하고
서비스 이름은 마음대로 장치의 IP 주소에는
DDNS할때 만들어진 IP가 아니라 NAS IP를 입력해줬어요.
포트는 처음에는 20이였는데
외부접속이 안되어서 5000으로 변경하니
그때부터 외부접속이 되더라구요.
기본 5000으로 되어있고
DSM 설정에서 포트는 변경이 가능한거 같습니다.
DSM 포트와 동일하게 해주세요.
혹시라도 새로운 방법이나
보완될 사항이 있으면
본문을 수시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